1. 인천과학문화거점센터
  2. 센터소개

목적

  • 과학과 대중의 연결망 구축
  • 보편적 과학복지 실현과 시민의 삶의 질 향상
  • 과학문화를 통한 미래 신동력 창출
과학과 대중의 연결망 구축
  • 과학문화를 매개로 지역자원 공유 및 이음 실천
  • 인천시민을 위한 과학문화 영역 발굴 및 보편적 과학지식 생산
  • 일상 속 과학, 과학 속 일상에 대한 인식 제고 및 모든 인천인을 위한 과학문화 대중화
  • 시민과 함께 성장하는 과학문화 친화 도시 조성
보편적 과학복지 실현과
시민의 삶의 질 향상
  • 과학문화를 매개로 지역의 문화 격차 및 불평등 해소와 원도심 활성화에 기여
  • 학교 밖 청소년, 난민, 사회적 배려, 실버 등 모든 인천인을 위한 나눔과 상생의 과학문화 구현
과학문화를 통한
미래 신동력 창출
  • 지역특화 과학문화 프로그램 개발 및 확산
  • 과학문화전문가 양성 및 일자리 창출로 연계
  • 과학문화와 미래산업의 접목을 통한 차별화된 과학문화 사업발굴 및 아젠다 제시

기본방향

  1. 1

    과학문화 정책 수립
    지역 과학문화 정책추진 고도화, 전문가 집단의 기초연구
  2. 2

    정책발굴
    지역 과학문화 현황 점검, 정책 발굴 및 제안
  3. 3

    지역문화 과학문화 콘텐츠 개발
    인천 지역특화 프로그램 개발, 과학문화 곤텐츠 개발 및 자문
  4. 4

    과학문화 주체 발굴 및 활동 지원
    지역 과학문화 주체 발굴, 과학문화 활동 지원
  5. 5

    1-365 과학축제로 나눔과 공유
    1-365 과학문화 생태계 조성, 보편적 과학복지 구현

운영 목표

  • 참여해서 즐거운 과학문화

    • 과학문화 대중화를 통한 합리적 사고방식과 과학적 마인드 형성
    • 과학문화 확산을 통해 계층 간 교육, 과학문화 격차 해소
  • 나누어서 따뜻한 과학문화

    • 지역 기업 및 기관 연계를 통한 나눔과 공유
    • 지속적인 나눔과 상생 가능한 프로세스 및 지원체계 구축
    • 경력단절여성, 청년 및 노인, 장애인 등 취약계층에게 과학문화 확산, 일자리 창출
  • 새로움에 성장하는 과학문화

    • 지역 시민, 민간단체, 기관 등 다양한 활동 주체 발굴 및 육성
    • 지역 인프라 및 자원을 연계한 과학문화 프로그램 및 콘텐츠 개발
    • 지역특화의 과학문화 프로그램 기획 및 계발 지원을 통한 지역 다양성 확대

운영 방향

  • As Is

    • 일회성·한시적·대규모 과학행사
    • 소규모에게만 접근가능한
    • On or Off-line적 접근
    • 개별적, 분절적 과학문화 인프라
    • 전달·이해·이론중심&교과중심 과학
  • To Be

    • 연속·지속가능·중소규모 1-365 과학생태계 조성
    • 누구에게나 언제나 열린
    • On or Off-hybrid적 접근
    • 협력적 과학문화 네트워크
    • 실제문제·사회기반 연계 문제해결형·발견형 과학문화
  • "모든" 인천인을 위한 개방·공유·참여형 과학문화 조성

사업비전

사업목표
  • 과학과 대중의 연결망 구축
  • 보편적 과학복지 실현과 시민의 삶의 질 향상
  • 과학문화를 통한 미래 신동력 창출
중점추진방향
  • 과학문화 방향 연구 및 정책제시
  • 즐거운 과학문화 경험제공
  • 인천인과 함께 성장하는 과학문화
  • 과학문화를 통한 인재양성 기반마련
운영목표
  • 참여해서 즐거운 과학문화
  • 나누어서 따뜻한 과학문화
  • 새로움에 성장하는 과학문화
주요내용
    • On&Off Hybrid 1-365 과학축제
    • 시민참여 과학문화 대중화
    • 지역사회 과학문화 나눔·공유
    • 지역기업과 기관 연계
    • 경력단절여성, 청년 및 노인, 장애인 등 취약계층에게 과학문화 확산, 일자리 창출
    • 과학문화 활동가 발굴 및 양성
    • 인천특화 과학문화 콘텐츠 개발
    • 과학문화 힐링 Trekking

인천과학문화거점센터

  • 연구기반
  • 지역특화
  • 협력
  • 나눔과 상생

인천광역시, 과학기술정보통신주, 한국과학창의재단, 인천대학교